dfs와 bfs – 실버2
2023. 1. 2. 17:07ㆍ코딩 테스트 준비
728x90
반응형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# n: 정점의 개수, m: 간선의 개수, v:탐색을 시작할 정점의 번호
n, m, v = map(int,input().split())
graph = [[] for _ in range(n+1)]
# 한 칸은 빈 칸으로 두고 v의 입력에 맞게 값을 추가하기 위한 빈 배열 생성
for i in range(m):
a,b = map(int,input().split())
graph[a].append(b)
graph[b].append(a)
graph[a].sort()
graph[b].sort()
# 인덱스가 정점이 된 상태로 값들을 해당하는 리스트에 추가
def dfs(graph, v, visited):
# 현재 노드를 방문 처리
visited[v] = True
print(v, end=' ')
# 현재 노드와 연결된 다른 노드를 재귀적으로 방문
for j in graph[v]:
if not visited[j]:
dfs(graph, j, visited)
# BFS 함수 정의
def bfs(graph, start, visited):
# 큐(Queue) 구현을 위해 deque 라이브러리 사용
queue = deque([start])
# 현재 노드를 방문 처리
visited[start] = True
# 큐가 빌 때까지 반복
while queue:
# 큐에서 하나의 원소를 뽑아 출력
v = queue.popleft()
print(v, end=' ')
# 해당 원소와 연결된, 아직 방문하지 않은 원소들을 큐에 삽입
for k in graph[v]:
if not visited[k]:
queue.append(k)
visited[k] = True
visited = [False] * (n+1)
# 방문처리를 위해 생성
dfs(graph, v, visited)
print("")
visited = [False] * (n+1)
bfs(graph, v, visited)
728x90
반응형
'코딩 테스트 준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로 탐색 – 실버 1 (0) | 2023.01.02 |
---|---|
전쟁 – 전투 실버 1 (0) | 2023.01.02 |
The Game of Death – 실버 4 (0) | 2023.01.02 |
Bucket Brigade – 실버 4 (0) | 2023.01.02 |
바닥 장식 – 실버 4 (0) | 2023.01.02 |